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폰 직구, 관세·부가세 한눈에 핵심 정리

by 티스토리의 정석 2025. 4. 6.
반응형

“아이폰을 해외에서 직구하면 국내보다 훨씬 싸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죠? 그런데 배송받을 때 갑자기 세금 고지서가 날아오면 당황할 수 있어요. 관세? 부가세? 신고는 또 어떻게 해야 하나? 헷갈리는 아이폰 직구 세금 문제, 이 글 하나로 정리해드립니다. 세금 내는 기준부터 면제 조건, 관세신고 절차까지 쏙쏙 알려드릴게요.”

 


📌 목차

아이폰 직구하면 어떤 세금이 붙을까?

관세는 왜 면제되는 거야? (기본 구조 이해)

부가세는 무조건 내야 할까? 면제 조건은?

자가사용이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관세신고, 어떻게 하는 건가요?

실제 납부 예시: 아이폰 가격별 세금 계산

세금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결론: 아이폰 직구, 싸게 사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1. 아이폰 직구하면 어떤 세금이 붙을까?

아이폰을 해외에서 구매해 국내로 배송받으면, 해외에서 물건을 ‘수입’하는 셈이기 때문에 세금이 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세금은 다음 두 가지예요.

 

관세: 나라에 따라 다르지만, 아이폰은 대부분 관세 면제

부가가치세(부가세): 보통 총 구매금액의 10% 정도 발생

 

또한, 드물지만 고가의 제품에는 개별소비세가 붙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 아이폰 모델에서는 해당되지 않으니 걱정은 덜어도 됩니다.

요약하면, 관세는 보통 0원, 하지만 부가세는 거의 항상 발생한다고 보면 됩니다.


2. 관세 면제 이유

아이폰은 ‘스마트폰’이라는 품목에 속해요. 한국은 미국, 일본 등과 FTA(자유무역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일정 품목은 관세가 0%로 면제됩니다.

 

HS 코드 기준: 아이폰은 ‘8517’ → 통신기기 → 관세 면제 품목

미국, 일본, 홍콩 등지에서 직구해도 관세는 부과되지 않음

 

✅ 단, ‘관세’만 면제일 뿐이지 ‘부가세’는 별도로 붙는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3. 부가세는 무조건 내야 할까? 면제 조건은?

 

부가세는 상품 가격 + 배송비 + 보험료(있다면)의 총합을 기준으로 부과돼요.
하지만 금액이 일정 기준 이하라면 면제가 가능합니다.

 

발송 국가 면세 기준 금액

미국 150달러 이하
기타 국가 100달러 이하

 

이 기준을 1달러라도 넘으면 전액 과세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151달러짜리 아이폰 케이스를 사면 전체 금액의 10%를 세금으로 내야 해요.

배송비까지 포함되므로, 배송비 싼 배송대행지 선택도 중요합니다.


4. 자가사용이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많은 분들이 “개인 사용인데 세금 면제 아닌가요?”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자가사용이라는 표기만으로는 세금 면제를 받지 못해요

다만, 관세청에서 면세 대상인지 판단할 때 참고 요소로 사용돼요

반복 수입하거나 여러 대 구매하면 ‘사업자 목적’으로 오인될 수 있음

 

✅ 자가사용 목적이어도 기준 금액(100~150달러)을 초과하면 세금 납부 의무가 생깁니다


 5. 관세신고 하는 방법

아이폰 직구 시 관세신고는 대부분 배송업체나 배송대행지가 대행해줘요. 하지만 직접 할 수도 있고, 어떤 경우든 정확한 정보 제출이 중요해요.

 

직접 신고하는 방법

관세청 사이트(https://unipass.customs.go.kr) 접속

자가사용 수입신고’ 메뉴 선택

송장번호, 제품명, 가격, 구매 영수증 입력

세금 자동 계산 → 신용카드/계좌이체로 납부

 

필요한 서류

구매 영수증 (스크린샷 가능)

결제 내역

제품 정보 (링크 첨부하면 정확도 ↑)

 

 거짓 신고나 저가 신고는 ‘탈세’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반드시 실제 금액으로 신고하세요.

 

 


6. 실제 납부 예시: 아이폰 가격별 세금 계산

 

예시1) 아이폰 15 프로 / 256GB / 미국 애플 공홈 기준

제품 가격: $1,099

환율(예: 1,350원): 약 1,483,650원

배송비: 20달러 ≒ 약 27,000원

과세 가격 합산: 약 1,510,650원

부가세 10%: 약 151,065원

총 세금 납부액: 약 15만 원

 

예시2) 아이폰 SE / 64GB / 일본발 구매 / 100달러 이하
→ 관세, 부가세 모두 면제 가능 (배송비 포함 가격 기준 확인 필요)


7. 세금 신고 안 하면?

관세나 부가세 신고를 누락하거나 고의로 금액을 줄여서 신고하면 불이익이 생깁니다.

 

과태료 부과: 최대 수백만 원

세금 추가 추징 + 가산세

반복될 경우 직구 블랙리스트 등록

 

또한, 배송이 지연되거나 세관에서 제품 반송될 수 있어요. 한두 번은 넘어가도, 기록이 누적되면 문제 발생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 항상 정직하게 신고하고, 납부해야 나중에 더 큰 손해를 막을 수 있어요.


아이폰 직구는 확실히 매력적입니다. 국내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고, 최신 모델도 빠르게 손에 넣을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그만큼 세금과 신고 절차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아이폰은 관세는 면제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부가세 10%는 꼭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미국발이면 150달러, 그 외 국가는 100달러를 넘지 않으면 면제가 가능하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반응형

댓글